클라우드 점유율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알리바바, 구글 클라우드, 화웨이 등 상위 5개 IAAS 제공업체가 전체 시장의 80% 이상 점유, 현재 국내시장은 서비스형 인프라(IAAS) 중심으로 형성되고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dLYTOq/btrXdLR0Q8k/Qf2PNJPFmSd6eHHcCjWl7K/img.png)
전문가들은 “국내 기업들은 상대적으로 진출 기회가 아직 남아있는 글로벌 SaaS 시장 진출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본다. 국내에 클라우드 확산을 위한 제도적 제약 해소와 전통적 SW개발, 유통 패러다임 전환, 강점 및 미래 유망산업 적용 확산, 우리 데이터 주권 확보를 위한 인프라 강화 추진 등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클라우드 시장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은 서비스 모델, 배포, 모델, 조직, 규모, 산업 분야 및 지역을 기준으로 분석된다. 서비스 모델에 따라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PaaS(Platform as a Service) 및 SaaS(Soft as a Service)로 분류된다. 시장은 조직 규모에 따라 중소기업(SME), 대기업으로 분류된다. 코로나 이후의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클라우드 기반 솔루션에 대한 수요를 촉진하고, 비용 최적화 등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전 세계 대부분의 조직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실행 가능한 IT 배포 모델로 받아들이고 있으며, 클라우드 채택에 대한 가장 인기 있는 근거는 제공 플랫폼으로서의 클라우드의 유연성과 보안이다.
클라우드 사업의 대한 전망 ?
2022년 현재까지 큰 규모의 기업들은 이미 클라우드를 도입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관련된 많은 사업을 하고 있으며 중소규모의 기업들도 각 자사에 맞는 스타일로 클라우드 솔루션을 커스텀하고 있다. 앞으로도 클라우드의 대한 의존은 높아질 것이며 그로 인해 여러 기업에서도 클라우드 인프라를 기반으로 그 위에 새로운 기능을 탑재한 솔루션들이 계속 등장할 것이라 생각한다.
클라우드 SaaS(soft as a Service)
![](https://blog.kakaocdn.net/dn/bGBrOd/btrW7TRPJgd/6woitasGs50HFvERrxsTG1/img.png)
위의 그림에서 보이는 것처럼 모든 것을 기업(클라우드)에서 제공함으로 사용자는 별도의 부담이 필요없이 SW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보통의 기업들은 주요 IAAS 제공 클라우드 업체와 파트너를 맺고 인프라를 가져와 자사의 소프트웨어를 올려서 제공하고 있다.
클라우드 시장의 1위 기업 베스핀 글로벌
베스핀 글로벌(Bespin Global)은 IT 관련 인력이 없거나 적은 회사도 아마존이나, MS 네이버 등이 운영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끔 해주는 이른바 클라우드 관리 서비스(Cloud Managed Service)를 제공한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기업 비즈니스를 위한 대규모 IT 인프라를 인터넷을 통해 임대해주는 사업이다. 최근엔 기업이 신규 비즈니스에 나설 땐 필수처럼 받아들여진다.
![](https://blog.kakaocdn.net/dn/dAmKEh/btrXdNvxdIv/N5aSkvmryjyE8t2DWzOTM0/img.png)
위의 사진은 국내 클라우드 1위기업 베스핀 글로벌의 사업 구도를 볼 수 있다. 1위 기업 답게 전체 클라우드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큰 기업들과 파트너를 맺은 모습을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베스핀 솔루션이라는 자체 솔루션도 개발하여 고객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솔루션 이외에도 마이그레이션이나, 컨설팅을 통해서도 수익을 창출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
![](https://blog.kakaocdn.net/dn/dXCv9S/btrXfNPzdcc/ssqKXLpakCPK3JPlH5RUz1/img.png)
새로운 인프라 환경으로 기존 데이터와 애플리케이션을 옮기는 것이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이고, 기존 환경에서 클라우드 환경으로의 이전이나 클라우드에서 클라우드의 이동이 가능하며 마이그레이션에는 자산 전체 또는 일부가 포함될 수 있다. 하지만 전체적인 프로세스를 마이그레이션을 하기에는 제한적인 부분이 많다고 보여진다.
MSA(MicroService Architecture)란 ?
![](https://blog.kakaocdn.net/dn/dpV4NW/btrW77ikwew/I0RpCKJlfXKvFGaQ3uC8MK/img.png)
위의 사진은 기존의 시스템과 MSA의 비교 사진이다. 마이크로 서비스는 더 작고, 독립적으로 배포가 가능하며, 각각의 서비스들로 구성된 프레임워크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독립적인 서비스 때문에 MSA는 클라우드와 궁합이 잘 맞는다. 컨테이너의 수가 계속 증가하는 애플리케이션들이 많아지면서 서비스단위는 더 작아지고,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클라우드를 도입하기 때문이다.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에 일부인 작은 서비스에 대한 개발이나 보안등 다양한 방향성이 제시된다.
클라우드 보안
![](https://blog.kakaocdn.net/dn/bQnNiO/btrXaslPTIJ/1dKKVXrmaLD2lpD1KN3KMk/img.png)
위의 사진은 베스핀 글로벌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보안 공동 책임 모델이다. 클라우드 제공사는 모든 서비스를 실행하는 인프라를 보호할 책임이 있다.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킹)
또한 고객은 필요한 모든 보안 구성 및 관리 작업 ( 클라우드 방화벽, 암호화, 사용자 접근 제어, 엔드 포인트 보안) 등등 다양한 보안 체계를 구축 가능하다.